티스토리 뷰
📉디플레이션이 뭐예요?
물가가 떨어지는데, 왜 무섭다고 할까요?
🧠물가가 내려가면 좋은 거 아닌가요?
"요즘 물가가 내려서 살 것 같아~"
"마트 가면 작년보다 더 싸졌더라!"
이렇게만 들으면 좋은 일처럼 느껴지죠.
하지만 지속적으로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
바로 디플레이션(Deflation)은
우리 경제엔 위험한 경고등이 될 수 있어요.
📌디플레이션의 정의
'디플레이션(Deflation)'은
물가가 전반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해요.
단순히 어떤 상품 몇 개가 싸졌다고 해서 디플레이션은 아니에요.
경제 전반의 소비자 물가가 장기간 하락할 때 쓰는 용어예요.
🔁인플레이션과는 반대!
구분 | 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
뜻 | 물가 상승 | 물가 하락 |
소비자 반응 | 지금 사야 해! | 나중에 사지 뭐... |
기업 반응 | 생산 확대 | 생산 축소 |
고용 | 증가 가능 | 감소 위험 |
경제 흐름 | 과열 우려 | 침체 |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은 생활비가 부담이 되긴해도,
경제가 '돌아간다'는 신호가 될 수도 있어요.
반면, 디플레이션은 돈을 써야 하는 이유가 사라지기 때문에
경제 전체가 얼어붙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요.
🧊왜 디플레이션이 위험할까요?
✅ 1. 소비 위축
"가격이 더 떨어질텐데 지금 살 필요가 있을까?"
→ 사람들이 지갑을 닫음 → 소비 감소
✅ 2. 기업 수의 감소
→ 매출 하락 → 인건비, 투자 줄임 → 고용 감소
✅ 3. 실질 부채 부담 증가
→ 물가가 떨어지면 돈의 가치가 올라감
→ 빚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커짐
✅ 4. 경기 침체 심화
→ 소비도 투자도 위축되면 장기 불황 가능성
📉실제로 디플레이션이 있었을까?
✅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 1990년대 초 버블경제 붕괴 후,
✔ 일본은 장기간의 디플레이션과 경기 침체를 겪었어요.
✔ 소비자들은 지갑을 닫고, 기업들은 투자를 줄였죠.
✔ 이 시기를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 디플레이션은 왜 생기나요?
✔ 수요 감소 (소비자들이 돈을 안 씀)
✔ 공급 과잉 (물건은 많은데 안 팔림)
✔ 기술 발전으로 생산 단가 하락
✔ 금리 인하, 돈 풀기에도 소비가 살아나지 않을 때
✔ 인구 감소로 경제 활력 자체가 떨어질 때
💡디플레이션에 대한 정부의 대응
✔ 금리 인하: 돈을 더 쉽게 빌리게 해서 소비,투자 유도
✔ 양적 완화(QE): 중앙은행이 직접 돈을 시장에 공급
✔ 재정 지출 확대: 정부가 직접 소비하고 고용 창출
✔ 심리 회복 노력: "지금 사야 이득!" 분위기 만들기
🌠마무리하며
디플레이션은 단순한 물가 하락이 아니라,
소비 심리, 기업 활동, 고용 등 경제 전반에 긴 그림자를 드리우는 현상이에요.
그래서 중앙은행과 정부는 '물가 안정'이라는 말 속에
사실상 적당한 인플레이션 유지를 목표로 삼고 있답니다.
싸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에요!
물가가 너무 안 오르면, 경제가 멈출 수도 있어요.
우리 생활과 맞닿아 있는 경제 용어,
앞으로도 하나씩 더 친절하게 풀어드릴게요.
감사합니다. 🌝
💟 '좋아요 👍 + 구독 💖"은 글 쓰는데 큰 힘이 됩니다!
'경제, 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 레버리지효과 - 경제, 금융 용어 96가지 중 (0) | 2025.07.05 |
---|---|
24. 디커플링 - 경제, 금융 용어 96가지 중 (0) | 2025.07.03 |
23. 더블딥 - 경제, 금융 용어 96가지 중 (0) | 2025.07.02 |
22. 대체제 - 경제, 금융 용어 96가지 중 (0) | 2025.07.01 |
21. 대외의존도 - 경제, 금융 용어 96가지 중 (0)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