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매몰비용(Sunk Cost) - 이미 쓴 돈에 발목 잡히지 않는 법

 

 

우리는 종종 이런 말을 합니다.

"여기까지 왔는데 그냥 갈까?"
"벌써 5천만 원이나 들였는데, 이제 와서 그만둘 순 없어."

 

이런 사고방식은 경제적으로는 비합리적인 결정입니다.

바로 매몰비용(Sunk Cost)의 오류에 빠진 대표적인 예죠.

 

 

✅ 1. 매몰비용이란 무엇인가?

매몰비용(Sunk Cost)은 이미 지출되었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말합니다.

 

✔ 시간, 노력, 돈이 해당됨

✔ 앞으로의 의사 결정에 아무런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되는 비용

✔ 그러나 사람은 감정적으로 이 비용을 고려해 잘못된 선택을 하곤 함

 

🎈핵심 개념:

"합리적인 결정은 미래의 편익과 비용에 근거해야 하며, 과거의 지출(매몰비용)은 고려하지 않아야 한다."

 

 

 

🎯 2. 경제학적 배경 - 한계 편익과 합리적 선택

경제학에서 의사결정의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추가로 얻는 이익(Marginal Benefit)이 추가로 드는 비용(Marginal Cost)을 초과할 때만 행동하라."

 

여기서 과거의 비용(매몰비용)은 추가 비용이 아니기 때문에, 미래의 수익과 관련이 없다면 과감히 무시해야 하는 비용입니다.

 

 

🧠 3. 매몰비용 오류(Sunk Cost Fallacy)에 왜 우리는 빠지는 걸까?

매몰비용 자체는 중립적 개념이지만, 우리가 흔히 말하는 '매몰비용 오류'는 이 비용을 합리적 판단에 끌어들이는 심리적 함정입니다.

 

🎈심리적 원인

✔ 손실회피 성향: 손실을 회피하고자 더 큰 손실을 감수하는 경향

✔ 책임감의 왜곡: "내가 시작한 일이니 끝까지 책임져야"라는 생각

✔ 정체성 결합: 투자한 시간이 자기 노력의 '증거'라고 느끼는 경우

 

🎯 4. 실제 사례로 보는 매몰비용 오류

🎈1) 개인의 일상 속 사례

✔ 재미없는 영화관 영화: 이미 돈 냈으니 끝까지 봐야 한다?

✔ 관계 유지: 오랜 시간 만났다는 이유로 끝낼 수 없다는 심리

✔ 온라인 강의: 흥미 없지만 수강료 냈으니 끝까지 듣자?

이 모든 경우, 앞으로의 편익이 없다면 과감히 멈추는 것이 합리적 선택입니다.

 

🎈2) 기업·정부의 의사결정 실패 사례

👉 콩코드 여객기 프로젝트

✔ 영국·프랑스 합작 초음속 여객기 개발 프로젝트

✔ 초기 개발비 수십억 달러 투입 → 상업성 없음에도 지속

✔ 결과: 대규모 손실과 역사적 실패

이 사건은 '콩코드 오류(Concorde Fallay)'로 불리며 매몰비용의 대표 사례로 남음

 

👉 미국 국방부의 전투기 개발

✔ F-35 개발비만 1,500억 달러 이상

✔ 실패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쓴 돈이 아깝다"는 이유로 프로젝트 지속

 

경제학은 말합니다: 아까운 건 아깝고, 손실은 손실일 뿐, 미래가치가 없다면 손절이 답이다.

 

 

📊 5. 투자자 관점에서의 매몰비용 판단

🎈1) 주식 투자에서

✔ "물렸으니 본전 올 때까지 버틴다" → 비합리적인 접근

✔ 보유 종목의 미래 가치 분석 없이 과거 매입가에 집착하는 것은 전형적인 매몰비용 오류

 

🎈2) 창업·사업 전략에서

✔ 이미 개발에 5억 원을 쓴 제품, 시장성이 없다면 중단이 합리적

✔ "여기까지 왔으니 끝을 본다"는 전략은 자금 낭비와 실패로 이어질 수 있음

 

 

🌠 6. 똑똑한 포기는 전략이다.

매몰비용은 이미 사라진 돈이다. 남은 건 지금과 앞으로뿐이다.

 

지금 내가 내리는 선택이 과거에 쓴 돈이 아까워서인지, 아니면 미래에 의미 있는 이익을 기대할 수 있어서인지 늘 되물어야 합니다.

 

매몰비용을 무시할 수 있을 때, 우리는 진짜로 합리적인 경제적 인간 (Homo Economicus)'에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 요약정리: 매몰비용 핵심 3줄 요약

1. 매몰비용: 회수할 수 없고, 미래 의사 결정에 영향을 주면 안 되는 비용

2. 매몰비용 오류는 과거에 집착해 비효율적 결정을 지속하는 것

3. 올바른 판단은 현재와 미래의 편익/비용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

 

 

 

우리 생활과 맞닿아 있는 경제 용어,

앞으로도 하나씩 더 친절하게 풀어드릴게요.

감사합니다. 🌝

 

💟 '좋아요 👍 + 구독 💖"은 글 쓰는데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